12월, 2024의 게시물 표시

법정의무교육 기준 총정리 (대상 시간 종류)

이미지
  안녕하세요 노본부장입니다 연말에 사업장에서 많이 이수하고계시는 법정의무교육에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1.종류기준 보통 5대 종류라고하면 성희롱예방교육 개인정보보호교육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교육 산업안전보건교육 퇴직연금교육입니다 많이 문의하시는 직장내 괴롭힘 예방교육은 의무는 아니기때문에 5대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2. 과정별 기준 과정 순서대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1. 성희롱예방교육 1-1 대상 : 근로자가 1인이상인 모든 사업장 1-2 시간 : 60분 / 연 1-3 교육방법 : 온오프라인/자체교육 1-4 예외 : 모두 동일 성별일 경우 교육자료 게시 및 배포로 해결 1-5 과태료 : 500만원 이하 1-6 근거 : 남녀고용평등법 제 13조 2. 개인정보 보호교육 1-1 대상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모든 근로자 1-2 시간 : 60분 / 연 1-3 교육방법 : 온 오프라인/자체교육 1-4 과태료 : 개인정보보호교육 미이수상태에서 개인정보 유출사고 발생시 5억원 이하의 과징금 1-5 근거 : 개인정보보호법 제 28조   3. 산업안전보건교육 1-1 대상 : 5인이상 근로자가 있는 사업자 1-2 예외 : 전 인원 사무직인 경우 일부 업종 제외(ex 소프트웨어개발 등) 1-3 시간 : 반기 6~12시간 (전년도 무재해시 50%) 1-4 교육방법 : 온오프라인  (관리감독자의 경우 온라인 최대 50%인정 대면교육, 비대면zoom교육, 우편교육을통해 50%필수) 1-5 과태료 : 최대 500만원 이하 1-6 근거 : 산업안전보건법 제 29조, 31조 4. 퇴직연금교육 1-1 대상 : 퇴직연금제도를 설정한 기업 내 근로자 전원 1-2 시간 : 60분 / 연 1-3 근거 :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 32조 1-4 과태료 : 1,000만원 이하 1-5 교육방법 : 퇴직연금사업자 또는 위탁기관 5.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교육 1-1 대상 : 1인이상 근로자를 고용하는 모든  1-2 시간 : 60분 / 연 1-3...

경비직무교육 매달마다 어떻게 해결할까요

이미지
  곳곳에 경비원은 빠질 수 없는 직무 중에 하나입니다. 국내에서는 경비원업무를 수행 하려면 매달 경비직무교육을 이수해야하는데요  경비원으로서 직무능력을 유지하기위해  그때그때 있는 많은 변수들을 모두 적절하게 대응하기위해서 현장의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매달 교육을 이수하게됩니다 . 효과를 극대화 하기위해서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겠는데요 이번 포스팅에는 필수로 진행해야하는 경비 직무교육 어떻게 진행하면 좋을지 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비 직무 교육의 내용  (1)기계경비 시스템의 기본원리 기본원리에 대해 파악하는 것은 기계를 다룸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합니다 경비업계에 새로운 기기가 계속 추가되며 달라지기 때문에 그때그때 맞춰서 최신 기계경비 기술과 장비에 대해 지식을  숙지해야합니다. 시스템 작동원리를 확인하고 현장에서 실무자가 경비업무에 맞도록  활용할 수 있게 교육을 진행합니다 (2) 출입통제 시스템 절차 출입 통제 시스템과 보안 절차를 정확하게 알고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보안 사고에 다방면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절차와 정책을 익혀야합니다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실무능력을 강화 합니다 (3) 모의 훈련 배운대로 실무에서 일어나는 상황들을 모의 실습을 통해 실무 능력을 만들어 출입 통제, 비상 대응 등 상황을 가정하고 실습을 진행하게 됩니다 (4) 과제와 평가 교육내용 중 중간평가와 최종평가가 있습니다 과제를 잘 수행했다면 평가내용은 어렵지  않기때문에 과제와 평가기준을 숙지하면 자신있게 평가까지 해낼 수 있습니다 (5) 교재 최근 동향이 어떤지 법규가 어떻게 개정 되었는지를 미리 확인하고 숙지하여 교육 내용을 정확히 이해해야합니다  경비직무교육은 단순히 의무적으로 이수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육을 통해 얻은  지식을 토대로 실무에 적용하여 경비직무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준비를 해야하고 사전 준비되어있는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