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5대 법정의무교육 자료 교육전 확인사항





국내에서는 사업장에 근로자분들은 


5인이상시 법정의무교육을 이수하지않으면


과태료를 내셔야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인정보가 유출되면 사업이 흔들릴정도의


과징금이 부과될 수도 있는데요


5대 법정의무교육 어떻게 준비해야할까요?





교육전 확인사항을 안내드릴게요


1. 교육방법확인


 먼저 온라인으로 할지 오프라인으로 할지


그에맞는 기관을 선택하셔야합니다.


현장직이 많으시거나 사무직이 많으시거나 


업체마다 성격에 맞도록 상황에 맞게 기관을


선택하셔야합니다





2. 인증여부 확인 


기관은 고용노동부에서 인증을 받았는지


받은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셔야합니다


산업안전보건교육기관 자격 뿐만아니라


모든 법정의무교육 자격을 취득한 교육


기관인지를 확인하시고 진행하셔야합니다


* 자격이 필요한 교육은 산업안전보건교육


직장 내 장애인인식개선교육, 퇴직연금입니다





3. 온 오프라인 모두 제안이 가능


온라인 위탁교육기관으로 인정받기 위해서


인적 물적 요건을 충족해야만합니다 온라인


위탁교육기관으로 인정받고 오프라인으로도


파견을 해드릴 수 있도록 기관은 거의 없습니다


저희는 수년간의 노하우를 가지고 모두 업체별


니즈에 맞춰 교육을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내용이 진행되어야하나요?


5대 법정의무교육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산업안전보건과정


- 개인정보과정


- 장애인인식개선과정


- 성희롱예방과정


- 퇴직연금과정


이상 5대 법정의무교육입니다 이외에도 


강화되고 있는 과정은 직장 내 괴롭힘예방교육과


자살예방교육이 있습니다만 위 과정은 아직


과태료는 없는 권고사항입니다



보건업이나 사회복지시설과 같은 특정 업종이


아닌이상 위 5대과정만 진행을 하시면 됩니다





과정을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산업안전보건과정


대상 - 5인 이상 사업장


시간 - 매분기 6시간 이상


과태료 - 500만원이하




직장 내 성희롱 예방과정


대상 - 근로자가 있는 모든 사업장


(예외 : 단일성별인 경우 홍보물 게시 배포로 갈음)


시간 : 연 1회 1시간 이상





개인정보 보호과정


대상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자


시간 - 연 1회


과태료 - 유출사고 발생시 최대5억원




직장 내 장애인인식개선교육


대상 - 사업주 및 모든 근로자

(예외 : 50인미만의 경우 자료 게시 및 배포로 갈음)


시간 - 연 1회 1시간 


과태료 - 300만원이하




퇴직연금과정


대상 - 퇴직연금제도 가입사업장


시간 - 연1회 1시간


과태료 - 천만원이하







위와 같은 과정을 쉽고 빠르게 


온오프라인으로 모두 해결이 가능합니다 


얼마안남은 2024년에 빠르게 파견이 가능하니


상담을 먼저 받아보세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법정의무교육 기준 총정리 (대상 시간 종류)

2025년 법정교육 과태료 총정리 – 미이수 시 얼마나 낼까?

법정필수교육 온라인 무료 강사 초빙